파주시의 K리그2 승격 추진이 다시 논란의 중심에 섰다. 지난 6월 30일 열린 파주시의회 제257회 정례회 본회의에서 박은주 의원은 "승격 후 연간 운영비가 23억 원에서 60억 원으로 급증하는 재정부담과 자체 수익 2.6%라는 현실"을 지적하며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그러나 김경일 시장의 답변은 구체성도 설득력도 부족했다는 평가다.
김 시장은 "2030년까지 자체수익 32% 달성"이라는 목표를 제시했지만, 근거는 빈약했다. 박 의원이 "김포FC를 제외한 대부분의 K리그2 구단이 연간 50~60억 원을 투입하며 적자 운영을 지속한다"는 사실을 근거로 대안을 요구했지만, 김 시장은 스폰서십 확대, 티켓 판매 등 일반적 모델만 반복할 뿐 파주만의 전략은 제시하지 못했다.
특히 대구FC나 강원FC의 대형 스폰서 사례를 언급했지만, 파주시의 현실과는 거리가 멀다. 더 큰 문제는 절차적 정당성이다. 박 의원은 "수백억 원이 투입되는 중대한 정책에 공식 타당성 조사가 필수"라고 지적했지만, 김 시장은 "시기와 재정 여건상 외부 용역은 어렵다"며 회피했다. 대신 제시한 '유사사례 분석'과 '전문가 자문단'은 내부 검토 수준에 그쳐 객관적 검증 과정이 부재하다는 비판이 나온다. 박 의원은 "이건 못하는 게 아니라 하지 않으려는 것"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논점보다 더 논란이 된 것은 김 시장의 태도다. 그는 2차 답변에서 "파주시민이 왜 K3에 멈춰야 하나", "이등 국민인가"라는 발언을 했다. 심지어 "박은주 의원 빼고 반대하는 사람이 있나요?"라는 언급은 의원의 견제 기능을 폄하하는 부적절한 대응이다. 이는 행정의 본질인 합리적 설명 대신 감정으로 논쟁을 덮으려는 태도로 비쳤다.
여기에 최근 파주시가 K리그2 승격 추진과 관련한 공문서를 비공개로 결정하고, 정보공개심의회 개최를 이유로 기한까지 연장한 사실은 의혹을 키운다. 절차가 정당하다면 왜 정보를 숨기는가?
시민 세금이 투입되는 사업이라면, 모든 과정은 투명해야 한다. 비공개는 불필요한 불신만 부른다. 파주시민들은 묻고 있다. "시민 요구는 예산 부족으로 미루면서, 왜 축구단에는 수십억을 쓰려하는가?" 복합커뮤니티센터, 농기계 임대사업소 확대 등 생활 밀착형 사업은 뒤로 밀리고 있다. 그럼에도 행정은 K리그2 승격을 최우선 과제로 내세운다. 과연 이것이 시민이 원하는 우선순위인가.
프로스포츠 구단 운영은 고위험 투자다. 철저한 사전 검토와 시민 합의 없이는 성공할 수 없다. 파주시는 지금이라도 홍보보다 준비, 비공개보다 투명성을 선택해야 한다. 감정이 아닌 데이터로, 속도가 아닌 절차로 답해야 한다. 시민의 신뢰 없는 승격은 실패로 가는 지름길이다.